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5

조직적 성경신학 2 해롤드 애벌리 책 리뷰 『조직적 성경 신학 2』는 하나님이 창조하신 피조 세계가 단순한 물질적 배경이 아니라, 그분의 목적과 성품이 반영된 영적, 시간적 구조라는 사실을 밝혀낸다. 해롤드 애벌리 박사님은 성경적 창조론과 인간론을 현대 철학과 신학 전통과 비교하며, 하나님과의 관계 안에서 피조 세계와 인간이 어떻게 설계되었는가를 풀어낸다.이 책은 1권에서 강조했던 “인격적 아버지 하나님”의 시각을 유지하면서, 세계의 구조와 인간의 본질을 관계 중심으로 해석함으로써, 하나님의 시간 속 개입, 영과 육의 통합, 인간의 존재 목적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시한다.피조 세계: 영적 차원과 시간의 통합 구조해롤드 애벌리 박사님은 『조직적 성경 신학 2』에서 피조 세계를 단순한 물리적 배경이나 철학적 사변의 대상이 아닌, 하나님과의 관계 안에.. 2025. 10. 28.
조직적 성경신학 아버지와 아들에 관하여 리뷰 『조직적 성경 신학 1. 아버지와 아들 신학』은 해롤드 애벌리 박사님이 히브리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하나님을 ‘관계적 존재’로 조명한 책이다. 전통적인 무시간적·무감정적 하나님 개념을 넘어, 시간 안에 개입하시고 감정으로 반응하시는 아버지 하나님의 모습을 신학적으로 제시한다. 지금, 한국 교회와 신학생들이 반드시 읽어야 할 필독서다.하나님은 무감정하고 멀리 계신 존재인가?전통적인 서구 조직신학은 고대 그리스 철학, 특히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적 사유에서 출발했다. 그 철학은 변하지 않는 절대적 존재, 즉 ‘완전함’이란 어떤 변화도 경험하지 않는 상태라고 정의했다. 그 결과, 하나님은 시간과 감정, 관계의 영향을 받지 않는 ‘무시간적이며 무감정한 존재’로 설정되었다. 이러한 사유는 헬라 철학의 “.. 2025. 10. 27.
승리의 종말론 책 리뷰 세대주의 종말론 차이 『승리의 종말론, 부분적 과거주의 견해』는 기존의 종말 해석에 강력한 도전을 던지는 책이다. 해롤드 애벌리(Harold Eberle) 박사님과 마틴 트렌치(Martin Trench)는 이 책에서 흔히 보아왔던 재난 중심의 세대주의 종말론과는 전혀 다른 관점을 제시한다. 종말을 두려워해야 할 시기가 아니라, 하나님 나라의 확장이 계속되고 결국 그리스도의 승리로 완성될 ‘희망의 시대’로 바라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 두 종말론의 차이는 단순한 해석의 차원을 넘어, 성도들이 신앙을 살아가는 방식과 교회의 사명을 바라보는 시각에까지 영향을 미친다.『승리의 종말론, 부분적 과거주의 견해』는 전통적인 세대주의 종말론과 완전히 다른 시각에서 종말을 해석한다. 두 관점의 차이를 명확히 비교함으로써, 오늘날 교회가 어떤.. 2025. 10. 27.
베카 그린우드 영광 전쟁 책 리뷰 『영광 전쟁』은 단순한 기도서가 아니다. 이 책은 중보기도자들에게 있어 단순한 영적 활동을 넘어, 하나님의 임재를 통해 실제로 어둠의 권세를 무너뜨리고 도시와 교회, 공동체를 변화시키는 전략적 도구로 기능한다. 베카 그린우드는 이 책을 통해 기도와 예배, 예언적 선포가 어떻게 도시 전체의 흐름을 바꾸는 무기가 될 수 있는지를 강력하게 선포하며, 중보기도의 사명이 어디까지 확장되어야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보여준다.『영광 전쟁』은 단순한 기도의 원리를 넘어, 예언적 중보기도를 통해 도시 전체에 하나님의 임재와 통치를 선포하도록 도전하는 책이다. 중보기도 사역자라면 반드시 읽어야 할 전략적 안내서다.하나님의 임재는 무기이다베카 그린우드는 『영광 전쟁』의 서두에서 하나님 임재의 본질을 “어둠의 권세를 파괴하는 무.. 2025. 10. 25.
사도적 확장, 땅을 차지하는 하나님 나라 전쟁 알랭 캐론 목사님의 『사도적 확장』은 단순한 영적 메시지를 넘어서, 하나님 나라의 실체를 땅 위에 어떻게 세우고 확장할 것인가에 대한 전략을 제시하는 책입니다. ‘하나님의 나라는 유토피아가 아니라 실제이며, 그분의 백성은 반드시 땅을 차지해야 한다’는 선언으로 시작되는 이 책은, 이전 저서 『사도적 센터』에서 다뤘던 교회의 정체성 회복을 넘어, 지역과 도시, 민족까지 다스리는 사도적 교회의 전진 전략을 구체적으로 풀어냅니다. 교회는 더 이상 방어적 위치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 나라를 실제로 땅 위에 세우기 위한 정복과 전진의 명령을 받은 존재임을 강조합니다. 『사도적 확장』은 단순한 이론서가 아니라, 지금 시대의 교회가 회복해야 할 사도적 정체성과 사명을 실제적이고 전략적으로 안내하는 하나님의 로.. 2025. 10. 23.
한국 교회에 필요한 사도적 센터 책 리뷰 알랭 캐론 목사님의 『사도적 센터』는 단지 교회의 구조를 재설계하자는 제안이 아닙니다. 이 책은 한국 교회가 안고 있는 구조적, 사역적 위기를 뚫고 나아갈 새로운 길을 제시합니다. 교회가 다시 하나님의 사명을 중심으로 정렬될 때, 지역과 세상에 영향력을 회복할 수 있다는 강력한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모이는 교회에서 파송하는 교회로『사도적 센터』가 한국 교회에 던지는 첫 번째 핵심 메시지는 바로 “교회는 모이는 장소가 아니라 보내는 중심 기지”라는 것입니다. 지금까지 한국 교회는 수십 년간 ‘성장 중심’과 ‘수적 부흥’이라는 프레임 안에서, 얼마나 많은 사람이 교회에 오고 정기적으로 출석하는지가 교회의 건강과 성공을 평가하는 기준이 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알랭 캐론 목사님은 이 책을 통해 그러한 사고방식.. 2025. 10. 22.